어렸을 때 부모님, 선생님께 귀에 못이 박힐 정도로 들었던 이야기, 키가 크고 뼈가 튼튼해지려면 칼슘이 많이 들어 있는 우유를 많이 먹어야 한다.그랬어요. 그래서 어렸을 때부터 우유를 열심히 마셨는데도 여전히 한국인 4명 중 3명은 칼슘 부족이래요.아마 어른이 되고 나서 우유를 거의 섭취하지 않는 것도 칼슘 부족의 한 원인이 되지 않을까요?저 같은 경우만 봐도 우유를 일부러 찾아서 마시는 경우는 극히 드물거든요.

뼈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요소인 칼슘, 99%는 뼈와 치아를 구성하고 나머지 1%는 혈액과 체액에 존재합니다. 콜레스테롤 조절 기능을 하고 마그네슘과 결합해 심박을 조절하는 역할도 합니다. 칼슘이 부족하면 고지혈증 등 성인병을 유발할 수 있으며, 여성의 경우 폐경 후 칼슘 부족으로 인해 골다공증 위험이 2배 정도 증가합니다.칼슘은 중금속 납 배출과 무관하지 않습니다.체내에서 칼슘이 없으면 그 자리를 납이 차지하게 되는데 체내 납이 쌓이게 되면 골질환, 사지마비 등을 초래할 수 있고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되는 것입니다.이렇게 중요한 칼슘 하루에 얼마나 섭취하면 좋을까요?칼슘의 하루 권장 섭취량은 성인 기준 700mg입니다.
![]()
칼슘이 많은 음식으로는 대표적으로 우유, 치즈, 멸치, 케일, 깻잎 등이 있으며, 특히 케일과 깻잎은 함께 섭취하면 칼슘 덩어리를 섭취하는 것과 같은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

칼슘 1일 권장량 700mg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어떤 음식을 얼마나 먹어야 하는가?우유 한 잔(200ml)에는 200mg의 칼슘이 들어 있고 멸치 종이컵 한 잔은 칼슘 800mg이 들어 있습니다. 수치적으로 보면 멸치 속 칼슘이 훨씬 많아 보이지만 실제 체내 흡수율은 멸치보다 우유가 더 높기 때문에 우유를 섭취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.그리고 무엇보다 하루에 종이컵 1컵 분량의 멸치를 먹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.

멸치의 경우 대부분 반찬으로 섭취합니다. 백미, 현미 등 밥과 함께 섭취할 경우 곡물의 인성분이 칼슘 흡수를 방해하기 때문에 좋은 조합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.그래서 접근성이나 흡수율을 고려할 때 우유가 칼슘 섭취에 더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.칼슘이 많은 음식/칼슘 효능 및 일일 권장량 이상의 차밍캠프 화정 본점에서 알려드렸습니다.


